image: Sotheby's Contemporary Art Evening auction in London, image credit: Sotheby's
10월 14일 런던 소더비 옥션에서 열린 현대미술 이브닝 세일의 스타는 다시 한번 뱅크시의 작품이었습니다. 약 302억 원 (18.5 밀리언 파운드)에 낙찰되었는데요. 불과 3년 전인 2018년 10월 소더비 경매에서 약 17억 원에 팔렸던 작품이었습니다. 당시 낙찰이 결정되는 순간 액자 안에 있던 작품이 파쇄되기 시작해서 그 장면을 목격하고 있던 사람들에게 충격을 안겨주었지요. 안전요원들이 급히 작품을 벽에서 떼어내는 사이, 경매사 직원들의 눈이 휘둥그레졌고 현장에 있던 사람들의 입에선 탄식이 쏟아졌습니다. 작품의 절반이 파쇄된 상태로 움직임이 멈췄고, 그 상태가 지금의 모습으로 남아있습니다.
이 작품을 낙찰받았던 컬렉터는 당시 그대로 작품 구입을 진행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갈갈이 찢어진 그림이 가치가 있을까? 라는 질문을 할 법 하죠. 큰 이슈를 불러온 만큼 기대를 갖고 구매를 최종 결정했습니다. 그 결정은 3년 만에 거의 20배 가까이 오른 작품 가격으로 보답받았습니다.
뱅크시가 자신이 파쇄기계를 액자 안에 넣어 이 소동을 계획한 것으로 인정했는데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파괴하고자 하는 충동도 창조적인 욕구"라는 피카소의 말을 인용하기도 했습니다.
이 작품에 '경매장에서 만들어진 최초의 작품'이라는 별명이 붙었습니다. <풍선과 소녀 Girl with Balloon>라는 기존 제목 대신 <사랑은 쓰레기통에 Love is in the Bin>이라는 새로운 제목이 부여되었고, 제작 날짜도 2018년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이 작품이 워낙 화제가 되었던 터라, 이번 세일에 소더비가 마케팅 총력을 기울인 것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경매를 앞두고 런던 본사 건물에 절반이 파쇄된 소더비 깃발이 걸리기도 했죠 (아래 사진 출처: 소더비 인스타그램). 뭔가 귀엽지 않나요?
경매사 측은 이번에 뱅크시가 다른 장난을 계획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또 했습니다. 배터리를 제거하고 혹시라도 누군가가 경매 당일 전에 작품에 접근하는 것을 철저히 차단하여 또다른 '사고'의 가능성을 막았습니다. 경매를 진행한 옥셔니어는 경매 종료를 알리면서 "망치를 내려치기가 겁이 난다"고 웃음 섞인 말을 던지기도 했습니다.
이번에 뱅크시의 작품을 낙찰받은 구매자는 아시아의 개인 수집가로 알려졌습니다. 뱅크시의 최고가를 갱신한 이 작품이 어디에서 다시 나타나게 될 지 궁금해집니다. 런던 현대미술 경매에서 아시안 컬렉터의 파워가 여실히 드러났는데요. 낙찰된 많은 작품이 아시아로 향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