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10-25-2021 오징어 게임 스페셜

Created
2021/10/25
Tags

안녕하세요.아트어드바이저 지연입니다.

전세계적으로 열광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오징어 게임, 보셨나요? 지난 몇 주간 만났던 사람마다 이 드라마 이야기를 하지 않은 사람이 없었는데요.한국의 놀이 (달고나 도구를 뉴욕으로 직구하고 싶은 마음이!) 와 시청자 숫자 (이렇게 많이 볼 줄 누가 알았을까요?) 이야기로 화제를 이어가고 있습니다.하이퍼리얼리스틱한 세트 디자인 이야기도 빼놓을 수 없죠. 드라마 곳곳에서 여러 기존의 미술, 건축, 의상 작품의 영향을 발견할 수 있어서 보는 재미를 더했습니다.이번 아트레터는 미술 덕후의 시선으로 오징어 게임을 속속들이 살펴봤습니다. 오징어 게임에 슬쩍 그 모습을 드러낸 7가지 예술 작품을 한번 찾아볼까요?
+ 요즘 뉴욕의 미술관과 갤러리 전시가 궁금하시다면 인스타그램을 찾아주세요
image: René Magritte, <Empire of Light (L'empire des lumières)>(1953-54), image credit: The Solomon R. Guggenheim Foundation Peggy Guggenheim Collection, Venice
1: 르네 마그리트의 그림
오징어 게임 2회에서 형의 행방을 찾고 있던 경찰관이 빈 방에 남겨진 물건을 바라보는 장면에 주목!
책상 위를 훑어보는 그의 시선을 따라가보면 미술가 르네 마그리트, 파블로 피카소, 빈센트 반 고흐, 클로드 모네를 다룬 서적과 자크 라캉, 니체를 읽는 이 사람은 누구일까, 궁금해집니다. 장르는 다를지 모르지만 이들은 욕망과 죽음에 대해 깊이 탐구한 사람들이죠. 그가 찾는 형이 초현실적인 세계관을 보여준 예술과 정신분석학 및 철학에 빠진 인물이란 배경을 깔고 들어갑니다.
특히 책상 옆에 붙어있는 르네 마그리트 René Magritte의 <빛의 제국> (1953-54) 엽서가 눈에 띕니다. 하늘은 한낮처럼 밝은데 어두운 밤길을 밝히는 가로등이 켜져있고 집안에서 은은하게 불빛이 새어나옵니다. 언뜻 세밀하고 사실적으로 묘사된 것처럼 보이지만 비현실적인 두 시간대의 혼재가 몹시 낯설게 느껴지죠.
드라마는 시종일관 인물들의 상황은 끔찍하고 사실적으로 묘사하지만 게임의 무대는 발랄하고 산뜻한 색으로 채웁니다. 현실적인 디테일이 비현실적인 배경과 뒤섞이면서 초현실적인 세계를 만들어냅니다. 아이들의 놀이가 살인의 수단으로 바뀌는 섬뜩한 순간이 마그리트의 작품 속에서 보이는 '익숙한 것이 낯설게 보일 때의 공포'를 닮았습니다.
Image: M.C. Escher, <Relativity>(1953), image credit: The M.C. Escher Company, The Netherlands.
2.
MC 에셔의 판화
게임 참여자들이 오가는 이 장면에서 MC 에셔 M.C. Escher의 판화 <상대성>(1953)을 떠올릴 수 있죠. 워낙 유명한 작품이고, 오징어 게임의 미술 감독이 영향을 받은 아티스트라고 인터뷰에서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가지런히 움직이고 있는 참가자의 모습은 생각이나 감정이 제거된 기계적인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에셔의 판화 속에서 얼굴이 지워진 인물들이 시작과 끝도 보이지 않는 구조 안에서 갇혀있는 것처럼, 오징어게임 속 인물들은 죽어야 끝나는 게임 속에 갇혀있다는 정서를 전달합니다.
image: Ricardo Bofill’s La Muralla Roja, image credit: Ricardo Bofill Taller de Arquitectura, Ricardo Bofill. gestalten 2019
3.
리카르도 보필의 건축
라 무랄라 로하 La Muralla Roja 라는 이름의 스페인의 한 아파트가 최근 여러 매체에서 소개되었습니다. 오징어게임 세트장 아니냐는 말이 나올 정도로 유사한 구조를 가진 이 건축물은 리카르도 보필 Ricardo Bofill이 디자인했습니다. 사탕처럼 달콤한 색깔의 계단과 직선을 강조한 기하학적 구조가 특징입니다. 이 독특한 구조와 색상을 건물 밖에서도 볼 수 있게 노출되어 있습니다. 바닷가에 인접한 위치 역시 자연스럽게 오징어게임의 지리적 설정을 연상시킵니다. 에어비앤비를 통해 숙박 예약을 할 수 있다는군요!
image credit: Legendary Parties by Prince Jean-Louis De Faucigny-Lucinge, via therake.com
4.
살바도르 달리의 가면
멀티플레이어 아티스트 살바도르 달리 Salvador Dali가 1972년에 초현실주의를 테마로 한 파티에 초대된 사람들을 위해 가면을 디자인한 적이 있었습니다. 최상류층 초대객들을 위해 만든 달리의 가면들은 기괴함과 화려함을 동시에 보여줍니다. 이 파티를 주관한 사람은 한때 세계 최고의 부자로 알려졌던 로스차일드 집안의 마리-헬렌 드 로스차일드였습니다. 게스트룸만 80개에 달하는 프랑스의 한 성에서 열렸는데, 입구 계단에 고양이 분장을 한 고용인들이 계단에 잠든 척 누워있었다고 합니다. 오징어게임 속 VIP들이 황금색 가면을 쓰고 연회를 즐기는 장면에서 초현실주의 파티가 21세기에 열렸다면 이렇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물론 살인 요소는 빼고요.
image: Judy Chicago <The Dinner Party>(1974-79), The Elizabeth A. Sackler Center for Feminist Art, the Brooklyn Museum, photo by me.
5.
주디 시카고의 설치작품
오마주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주디 시카고 Judy Chicago의 가장 유명한 작품에서 받은 명백한 영향을 발견할 수 있었던 최후의 생존자 세 명의 식사 장면입니다. 시카고의 <디너 파티>(1974-79)는 역사, 문학, 신학 속에 존재하는 39명의 여성들을 초대해 만찬을 연다는 상상에서 나온 작품입니다. 각각의 인물을 위한 테이블 세팅이 되어있는 식탁이 드라마 속에서 본 것처럼 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지요. 이 작품은 뉴욕 브루클린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현재도 위의 사진처럼 전시 중입니다.
image: Works by Przemek Pyszczek, installation photos, 2016, image credit: Nicodim Gallery, Los Angeles
6.
프리제멕 피쉬첵의 조각
베를린을 거점으로 활동하고 있는 폴란드 출신 아티스트, 프리제멕 피쉬첵 Przemek Pyszczek은 놀이터에서 볼 수 있을 것 같은 다양한 조형물을 제작해왔습니다. 밝고 알록달록한 색상이 칠해진 철제 파이프는 놀이기구를 연상시키는 형태를 띄고 있지만, 안전하게 바닥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불안정하게 존재합니다. 오징어 게임 속 놀이기구들 역시 엄청나게 높은 정글짐이나 미끄럼틀처럼 그 위에 올라가 논다는 것을 상상할 수 없는 불안한 모습으로 등장합니다. 놀이라는 기능을 상실한 기구는 오히려 유희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드라마 속 세계의 불균형을 드러냅니다.
image: Edvard Munch <The Scream> (1893) image credit: National Gallery of Norway
7.
에드바르 뭉크의 그림
에드바르 뭉크 Edvard Munch의 <절규> (1893)의 이미지는 드라마 전반에서 종종 등장합니다. 그 중에서도 첫 회에 참가자가 얼굴에 피를 묻힌 채 두 손으로 얼굴을 감싸고 비명을 지르는 장면에서 바로 연상되는 작품입니다. 나는 소리지르고 있는데 아무에게도 그 소리가 닿지 않는 상황이 주는 공포의 표현이 외딴 곳에서 대규모의 죽음을 목격하는 사람들의 상황과 연결됩니다. 그 공포는 사회 속 개인이 마주하는 불안이 그들을 결국 극단적인 상황으로 몰고왔다는 드라마의 줄거리를 관통합니다.